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7

하드 SF의 진수를 보여주는 작품집, <숨>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고찰이 담긴 철학적인 SF 소설테드 창은 한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SF 작가 중 한 명입니다. 가 한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된 이후, 하드 SF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대중성을 갖춘 작가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테드 창의 소설이 SF 장르의 불모지에서 이렇게나 인기를 얻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테드 창의 은 그가 한국의 독자들에게 인기 있는 이유를 잘 보여주는 소설입니다. 인간 존재에 대한 철학이 담겨 있는 SF 소설이기 때문입니다. 꼭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테드 창의 은 과학적 상상력과 철학적 사유가 절묘하게 결합된 단편집으로, 인간 존재와 의식, 시간, 자유의지를 깊이 탐구하는 작품입니다. 이 책은 총 9편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작품은 서로 다른 세계와 설정을 지니면서도.. 2025. 11. 3.
성장과 반전 메시지를 다룬 SF 소설, <엔더의 게임> 인간의 전쟁 본능과 도덕적 선택, 성장의 아픔을 그린 소설오슨 스콧 카드의 은 인간의 전쟁 본능과 도덕적 선택, 그리고 성장의 아픔을 심오하게 다루는 SF 고전입니다. 1985년에 출간된 이 작품은 미래의 지구가 외계 종족 ‘버거(bugger, 혹은 포믹)’의 침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어린이들을 군사 전략가로 훈련시키는 과정을 그립니다. 주인공 앤드류 위긴(Andrew Wiggin), 즉 ‘엔더’는 세 번째 아이로 태어나 사회적 제약을 넘어 특별한 목적을 위해 선발된 천재 아동입니다. 그는 지구 연합의 ‘배틀 스쿨(Battle School)’에 입학하여, 가상 전투 시뮬레이션과 경쟁을 통해 차세대 지휘관으로 성장합니다. 엔더는 처음부터 비범한 두뇌와 직관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그 재능 때문에 다른 아.. 2025. 11. 2.
판타지 속 런던 지하 세계 모험담, <네버웨어> 현실과 환상이 교차하는 독창적인 도시 판타지 소설영국은 수많은 전설과 전승이 있는 나라입니다. 게다가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산업혁명이 시작되어 런던은 오래된 대도시 특유의 복잡함과 혼잡함을 모두 갖추고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냈습니다. 닐 게이먼의 는 이런 영국과 런던의 모습에서 특유의 도시 판타지를 만들어냈습니다. 저 역시 런던에 여행 갔을 때 닐 게이먼의 속 요정 세상을 어딘가에서 볼 수 있을지 관심을 가지며 봤습니다. 닐 게이먼의 는 현실과 환상이 교차하는 독창적인 도시 판타지 소설로, 런던이라는 익숙한 공간을 전혀 다른 시각으로 재창조한 작품입니다. 이야기는 평범한 회사원 리처드 메휴(Richard Mayhew)가 어느 날 길거리에서 부상당한 소녀를 도와준 일을 계기로 ‘런던 어보(London B.. 2025. 11. 2.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질문을 던지는 SF, <신들의 사회> 과학기술과 신화, 철학이 결합된 독창적인 세계관을 보여준 소설SF 장르가 가진 상상력은 어디까지 뻗어나갈 수 있을까요? 는 SF 장르가 가진 상상력과 가능성을 극한으로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인도 신화의 세계를 과학적 상상력으로 새롭게 창조해 낸 이 작품은 경이롭게 읽힙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작품이고, 정말 재미있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로저 젤라즈니의 는 1967년에 출간된 장편 SF 소설로, 과학기술과 신화, 철학이 결합된 독창적인 세계관을 선보이는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인류가 먼 미래의 행성에 이주한 뒤, 과학 기술을 통해 사실상 ‘불멸’을 얻은 자들이 자신을 신으로 칭하며 사회를 통제하는 세계를 배경으로 합니다. 인간의 정신을 새로운 신체로 옮기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오랜 세월을 살아온 일부 인.. 2025. 11. 1.
한국 SF의 인기를 선도한 작품,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과학적 상상력과 따뜻한 인간애가 조화롭게 어울린 소설여러분은 SF 작품에 어떤 것을 기대하나요? 우주 전쟁이 벌어지는 스페이스오페라? 아니면 과학 법칙의 엄격함이 지켜지는 하드 SF 소설? 일본과 미국이 섞인 느낌의 미래가 펼쳐지는 사이버펑크 소설 등등, 저는 모두 좋아합니다만, 사변적인 SF도 좋아합니다. 김초엽의 소설은 SF를 통해 우리 일상의 문제들을 들여다보게 합니다. 저는 김초엽의 소설을 읽으며 어슐러 K. 르귄을 떠올렸습니다. SF라는 장치를 통해 우리가 놓치고 지나간 것들, 사회의 구조를 돌아보게 해주는 작품입니다. 그래서 우리에게 더욱 와닿는 소설입니다. 김초엽의 은 과학적 상상력과 따뜻한 인간애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소설집입니다. 총 7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각각의 작품이 독립된 .. 2025. 11. 1.
오래된 미래와 신화의 과거가 조우한 스페이스오페라, <올림포스> 고대 그리스 신화와 현대 과학기술, 철학, 문학적 상상력을 한데 묶은 대서사시그리스 신화를 소재로 많은 2차 창작이 양산되지만, 제가 읽은 최고의 2차 창작은 과 입니다. SF 설정 속에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낸 작품들이기 때문입니다. 댄 시먼스는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데 있어 최고의 능력을 보여준 작가입니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형태로 그리스 신화를 활용해 근사한 SF 소설을 만들어냈습니다. 댄 시먼스(Dan Simmons)의 는 그가 2003년에 발표한 의 후속작으로, 고대 그리스 신화와 현대 과학기술, 철학, 문학적 상상력을 한데 엮은 대서사입니다. 전작이 거대한 설정과 복잡한 세계를 구축했다면, 는 그 서사의 모든 실을 회수하며 인류와 신, 인공지능의 운명을 종결짓는 장대한 결말을 제시합니다. .. 2025. 10. 31.